문자열 리스트를 문자열로 합치는 함수가 Join 함수라면, 반대로 문자열 데이터를 문자열 리스트로 분리(나누기)하는 내장 함수는 split 함수이다. 사용방법 문자열.split(구분자) 여기서 join과 차이점을 확인해야 될 것이 join함수의 경우 데이터가 함수안에 들어가고, 앞에 구분자가 있었는데 join과 순서가 정반대라는 점을 인지하도록 한다. 사용예시 Split 함수는 상당히 많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SV 데이터를 split하여 리스트 형태로 분리할 수 있는데 텐서플로우, 케라스, 파이토치 혹은 머신러닝을 공부하는 사람이면 거의 무조건 한번 정도는 프로그램에 꼭 사용한다. 자연어처리쪽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우선 형태소 분석을 하려면 데이터를 구분해야 하는데 공백 기준으로 token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