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이들(Gradle)에서 직접 만든 jar(로컬 jar)를 프로젝트에 추가하려면, build.gradle 파일에 로컬 저장소와 jar에 대한 종속성을 추가해야 합니다. 로컬 저장소 추가 Gradle이 JAR를 찾을 수 있게 저장소(로컬 저장소)를 추가해야 합니다. repositories { // 기존 저장소들 // ... flatDir { dirs 'libs' // JAR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명 입력 } } 종속성(Dependency) 추가 Dependencies 위치에 직접 만든 JAR파일 종속성을 추가합니다. 이때 파일의 이름과 버전을 정확하게 지정해서 문제가 없도록 합니다. dependencies { // 기존 종속성들 // ... implementation name: 'your-custom-ja..
에러 메세지 Path with "WEB-INF" or "META-INF": [WEB-INF/views/xxx.jsp]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면 원인은 스프링부트에서 jsp에 대한 설정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처리 방법 그레이들(Gradle) 기준으로 다음가 같이 의존성(dependency)를 추가한다 implementation 'javax.servlet:jstl' implementation 'org.apache.tomcat.embed:tomcat-embed-jasper' dependency를 추가 한 후 그레이들 설정을 저장 한 뒤, gradle refresh를 진행한다.
개발을 한지 얼마 되지도 않았고 뭐가 뭔지 잘 모르겠는 스프링 뉴비(newbie)분들은 프로젝트를 하기 전에 우선 프로젝트의 구조를 익히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이 포스팅은 너무 자세히는 설명하지 않고 간단히 프로젝트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구조 STS를 열고 내가 이미 만들어 놓은 프로젝트를 자세히 보면 아래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을 것입니다. 하나하나 위치별로 다시 설명을 드리자면 자바코드 최상단에 위치한 src/main/java에 있는 곳은 자바 코드가 위치해야 하며, com.tistory.needneo같은 것은 패키지 명입니다. 일반적으로 패키지명을 먼저 설계해서 만들어 놓은 후 자바코드들을 넣습니다. 가장 많이 작업할 공간이며, 패키지명을 잘 설계하는 것과 코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