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부트(Springboot)로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우선 프로젝트가 어떤 성격을 띄었는지를 알고, 해당 성격에 맞는 설정을 한 후 Generate를 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가 웹개발을 해야 하고 Rest 형태로 통신을 하는 것이 존재하며 MongoDB를 호출한다라는 설정을 넣게 되면 그에 맞게 세팅을 이미 한 프로젝트를 내려받아서 사용하는 것이다. 스프링 사이트 부트 설정화면 보통 spring의 웹사이트에서 이런 작업을 진행하지만 이클립스에서 스프링 툴을 설치했거나 STS(Spring Tool Suite)를 사용해서 웹프로젝트를 만들게 되면, 이 작업을 이클립스 내부에서 할 수 있다. STS(이클립스) 부트 설정 STS나 스프링이 애드온된 이클립스를 실행하면 File -> New..
Eclipse Addon vs Spring Tool 스프링부트(Spring boot)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클립스에 spring 에드온을 설치하는 방법과 스프링쪽에서 이클립스를 스프링에 맞게 만들어서 배포한 버전 둘 중에 하나를 사용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후자가 세팅을 하기가 수월하기 때문에 이 포스팅에서는 Eclipse Market 방식이 아닌 STS 다운로드를 직접 받아서 실행보는 것까지 해본다. Spring Tool 설치 Spring Tools 4 is the next generation of Spring tooling Largely rebuilt from scratch, Spring Tools 4 provides world-class support for developing Spring-based..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